
RIP 메트릭(Metric) : 최적의 경로를 결정할 때의 판단기준 RIP 동작 : 디스턴스 백터(거리, 방향) 라우팅 업데이트 : 라우터가 다른 라우터와 교환하는 정보를 RIP에서는 라우팅 업데이트라고 함. 이 때 교환하는 정보 : 라우팅 테이블(30초에 1번 보냄) 6번 수신 받지 않으면 그 라우터에는 뭔가 장애가 발생했다고 간주해서 그 라우터를 사용하는 경로들을 파기 RIP는 메트릭에서 홉수를 사용(홉 수 : 수신처 네트워크까지 통과하는 라우터 수) * RIP는 간단히 말해서 업데이트를 수신하면, 자기가 모르는 네트워크를 테이블에 추가하는 건데 그때, 업데이트를 보내 온 라우터를 그 앞의 네트워크에의 중계 라우터로, 업데이트를 받은 인터페이스를 그 앞의 네트워크에의 송신 인터페이스로 정하도록 한다...

웹에서 색상 표현하기 16진수 표기법 #ffff00(#ff0) rgb와 rgba 표기법 rgb(255,0,0), rgba(255,0,0,0.5) (a는 알파, 투명도, 1은 완전 불투명, 0은 완전 투명) hsl과 hsla 표기법 hue(색상), saturation(채도), lightness(밝기) 색상 이름 표기법 red, yellow, black 색상 추출 사이트 이용하기 https://www.webfx.com/web-design/color-picker/ Color Picker by WebFX – Free HTML Color Chooser This sample text has a font color of #c93200 Text here Background Color: www.webfx.com 배경 색..

글꼴 관련 스타일 font-family 속성 - 글꼴 지정하기 font-face 속성 -웹 폰트 사용하기 https://fonts.google.com/ Google Fonts Making the web more beautiful, fast, and open through great typography fonts.google.com font-size 속성 -글자 크기 조절하기(절대크기, 상대크기, 크기, 백분율) 보통 크기 사용(em, ex, px, pt) font-weight 속성 -글자 굵기 지정하기(normal(400), bold(700), bolder, lighter, 100~900) font-variant 속성 -작은 대문자로 표시하기(normal, small-caps) font-style 속성 ..

주소와 경로 3계층은 어드레싱과 라우팅으로 인터넷 작업을 수행 MAC주소는 같은 네트워크 내에서의 수신처를 결정, IP 주소는 수신처의 컴퓨터를 결정 A=>B=>C로 경유한다고 하면 B에서 C로 중계해 줄 어딘가의 장소로 가야돼. 그것을 MAC 주소로 지정해서 다음으로 보낼 장소를 결정(MAC주소는 계속 바뀌어) IP 주소가 데이터의 최종 수신처, MAC 주소가 다음 수신처 라우터 : 이 경로를 결정하는 역할 (다음에 어디로 보내야 할지를 결정. 송신처에서 수신처까지의 모든 길을 이해하는 것은 X) 홉 바이 홉(Hop-byHop) 방식 : 이렇게 반복해서 다음 길을 제시해 가는 방식(라우팅에서 홉은 라우터) 이렇게 반복을 해서 전체의 경로가 만들어진다. 그리고 라우터가 네트워크 경계상에 배치되어서 전송받..
CSS(Cascading Style Sheets) 선택자(selector) : 선택을 해주는 요소( ex) p{padding:10px}에서 p가 선택자) 스타일 시트 : 스타일 규칙들을 한눈에 확인하고 필요할 때마다 수정하기도 쉽도록 ㅏㅎㄴ 군데 묶어 놓은 것 1. 내부 스타일 시트 : head태그안에 style태그를 적용하는 것 2. 외부 스타일 시트 : 외부에서 스타일을 가져오는 것(head안에 link태그로) 3. 인라인 스타일 : 간단한 스타일 정보라면 스타일을 적용할 대상에 직접 표시 블루베리 주요 선택자 전체 선택자 : * 태그 선택자 : 태그 클래스 선택자 : .클래스 id 선택자 : #id 그룹 선택자 : 둘 이상 요소에 같은 스타일 적용하기(h1,h2) 캐스케이딩 스타일 시트(CSS) 캐..

서브네팅 서브네트워크(서브넷) : 큰 네트워크를 여러 개의 작은 서브네트워크로 분할 호스트 번호의 비트를 서브넷 번호와 호스트 번호로 분할(네트워크 관리자가) 서브넷은 그 네트워크의 내부에서만 유효 서브네팅 : 서브넷화 하는 것 서브넷의 숫자를 크게 하면 각 서브넷의 호스트 수는 감소한다. 서브네팅 문제 어느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는가. IP주소의 어디까지가 네트워크 주소인가 => 서브넷마스크 라고 불리는 비트열을 IP 주소와 동시에 표기해야 한다.(네트워크, 서브넷 번호의 비트가 1, 나머지 0) 클래스리스 어드레싱 사실 지금은 클래스로 IP 주소를 할당하지 않는다. beacuse 클래스에 딱 맞지 않으면 사용하지 않는 IP 주소가 생김 => 클래스리스 어드레싱 : 클래스라는 구분을 없앤 어드레싱 슈퍼..

마크업 : 화면에 표시할 내용에 태그를 사용해서 역할을 구별해 주는 것 특수기호 사용하기 https://dev.w3.org/html5/html-author/charref Character Entity Reference Chart dev.w3.org meta 리스트 ol에는 type, start 속성이 있다(type="a", start="3") dl, dt dd태그 - 설명 목록 만들기 표 table, thead, tbod, tfoot tr 행 th, td 열 caption 제목 colspan, rowspan(열합치기,행합치기) colgroup, col : 스타일(크기, 색) 이미지 figure, figcaption -이미지에 설명 글 붙이기 map, area, usemap - 이미지 맵 지정하기 form..

3계층의 역할과 개요 세그먼트 : 라우터와 라우터 간의 범위 세그먼트 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을 하는 것이 3계층이다. 3계층에서 사용하는 네트워크 (좁은의미) : 라우터와 라우터로 분배된 컴퓨터 그룹(세그먼트와 동의어) 네트워크 내라면 2계층까지만으로도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 네트워크를 나누는 이유 : 브로드캐스트가 도달하는 범위를 한정해서 브로드캐스트 문제를 해결한다. 라우터를 넘어서는 브로드캐스트는 송신되지 않는다. 인터넷 작업(InternetWork)(인터넷(Internet) : 네트워크 간에서의 데이터 송수신 (고유명사 인터넷과 다름) 인터넷 프로토콜 인터넷 작업을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것 2가지 1. 어드레싱 2계층과 3계층에서 2개의 주소를 사용 3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소 : 논리 주소 -- 위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