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SMALL
깃허브 사이트에 먼저 가입을 한다.
그리고 터미널을(cmd 혹은 에디터의 내장기능사용(vscode)) 들어간다.
깃허브를 처음 사용한다면 아래 코드를 입력한다.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 이름"
사용법
1. cd 올릴폴더
2. git init (.git이라는 숨김폴더가 생성된다.)
3. git add .(커밋 대기중으로 바뀐다. .은 모든 파일을 선택하는 용어다.)
4. git commit -m "설명" (설명에 말 그대로 설명 예를들면 "header update" 이런식으로 적으면 된다.)
5. repository 만들기 ( 깃허브 사이트에서 repositiory를 만들면 된다.)
6.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이름]/gitExample
(아까 repository의 주소를 복사하면 된다. origin은 저장소 이름이다. 다른 것으로 해도 상관없다.)
7. git push origin master (원격저장소에 commit을 저장한다.)
github사이트에 들어가보면 성공적으로 올라간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에는 좀 더 세부적인 내용을 올려보겠습니다.
728x90
LIST
'깃(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스트리에서 허스키 사용하기 (0) | 2022.10.05 |
---|---|
husky로 git hook 관리하기 (0) | 2022.02.20 |
깃허브에서 여러 계정 사용하기(소스트리 포함) (0) | 2021.12.14 |
git 작동원리 설마 모르는건... 1편 (0) | 2021.07.11 |
실수로 gitignore 설정하지 않고 올렸을 때 (0) | 2021.02.10 |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