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경 약 1년 반 전 컴포넌트를 잘 만드는 방법(리액트) 글을 썼다. 우연히 출퇴근길 개발 읽기에 올라갔고 많은 사람들이 내가 쓴 글을 읽었다. 1년 반이 지난 지금 나는 컴포넌트에 대해서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2편을 적어보면서 스스로 판단해보기로 했다. 컴포넌트를 잘 만드는 방법 2편인 만큼 아주 기본적인 내용은 생략한다. 실무에서 누구나 겪을만한 내용들을 다뤄보겠다. composition pattern 정의 컴포지트 패턴(Composite pattern)이란 객체들의 관계를 트리 구조로 구성하여 부분-전체 계층을 표현하는 패턴으로, 사용자가 단일 객체와 복합 객체 모두 동일하게 다루도록 한다. - by 위키피디아 정의만 봐서는 알기 힘드니 어떤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지 또한 어떤 장점이 있는지 예..
배경 라이브러리없이 밑바닥부터 개발하는 경험은 정말 소중하다. 1년전 우아한테크캠프를 통해서 이를 배웠으며 한번씩 기회가 될때마다 공부해왔다. 그리고 이제 좀 쓸만한? 리액트 비스무리한 라이브러리를 만든것 같아서 글을 적는다.(참고로 컴포넌트에 관한 3번째 글이다...) 사전지식 리액트를 만들어야하는데 리액트의 동작방식을 몰라서는 안된다. 최소한 공식문서는 정독하고 혼자서 가볍게라도 만들어보는 걸 추천한다. 이미 나와있는 자료들을 보고 내가 새롭게 만들어보는것도 좋은 방법이지만 아무것도 머리속에 넣지 않고서 머리를 쥐어뜯으면서 생각해보는 것이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한다. best practive를 찾아서 공부하는 건 좋은 방법이지만 그것만 쫓아서는 좋은 개발자가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혼자서 코딩해보고..

컴포넌트란 프론트엔드 개발자라면 컴포넌트라는 말을 들어봤을 것이다. 컴포넌트가 뭘까?? 간단하게 말하면 컴포넌트는 독립적인 단위 모듈이다. 리액트를 예시로 들면 컴포넌트를 여러개 만들고 이걸 조합해서 하나의 페이지를 만든다. 이게 기본적인 설명의 전부다. https://hanamon.kr/%EC%BB%B4%ED%8F%AC%EB%84%8C%ED%8A%B8-component%EB%9E%80/ 컴포넌트를 만드는 방법 간단하게 생각해보기 정책, 디자인, 백엔드 등의 사전작업이 모두 이루어졌고 새롭게 프론트엔드 프로젝트를 시작한다고 가정해보자. 이제 컴포넌트 관점에서 어떻게 진행을 해야할지 생각해보자. 아무리 작은 규모의 프로젝트라고 할지라도 버튼, 인풋, 모달 등은 존재한다. 그리고 이것들은 많은 화면에서 비슷..
배경 사실 이전에도 글을 올렸었다. 그런데 많이 부족한 내용이였고 버그도 많이 있었다. 이번에 기회가 있어서 새롭게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저번보다 훨씬 괜찮게 만들었다고 생각해서 다시한번 글을 올리게 되었다. 그리고 황준일님의 블로그를 참조했다. 리액트 동작 살펴보기 먼저 spa 라이브러리 중 가장 유명한 리액트를 생각해보자. 훅스는 비교적 만들기가 더 어렵다. 기본 useState, useEffect의 경우는 클로저를 이용해 간단하게 만들수 있지만(쉽지는 않다) 프로젝트 전체에 적용하는데는 더 많은 시간과 비용이 필요하다. 그래서 일단은 추상 클래스를 만들것이다. 리액트에서는 setState로 state를 변경하고 render, componentDidMount, componentDidUpdate..
컴포넌트 글을 보지 않았다면 먼저 봐주세요~~ https://ms3864.tistory.com/380 개요 저번에 만든 컴포넌트와 연동할 라우터를 만들어야 한다. 참고로 리액트 라우터와 유사하게(애초에 리액트 라우터는 context를 사용하기 때문에 다르게 만들 수 밖에 없다.) 만들 것이다. 구현할 것 무엇을 구현해야 할 지 생각해보자. 컴포넌트의 html을 string으로 구현했기 때문에 일단 리액트처럼 Link를 사용할 수는 없다. 그러면 그냥 a태그에 이벤트를 거는 방법도 있을것이고 새로운 태그에 이벤트를 걸어도 괜찮다. 그리고 /로 경로를 나눠서 상태로 가지고 있으면 좋겠다. 왜냐하면 params가 있는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리액트의 훅같은 함수가 있으면 더 편할것같다. 대충 pushst..

새롭게 글을 썼습니다. diff알고리즘을 적용해서 https://ms3864.tistory.com/409 바닐라자바스크립트(ts)에서 컴포넌트 만들기1(diff 알고리즘) 배경 사실 이전에도 글을 올렸었다. 그런데 많이 부족한 내용이였고 버그도 많이 있었다. 이번에 기회가 있어서 새롭게 간단한 프로젝트를 만들었는데 저번보다 훨씬 괜찮게 만들었다고 생각해 ms3864.tistory.com 배경 우아한테크캠프에서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프로젝트를 했었다. 그때 아쉬웠던 부분들을 생각하며 조금 더 보완해보려고 한다. 그리고 황준일님의 블로그를 참고했다. 개요 나는 리액트, 리덕스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 이를 바탕으로 생각해보자. 리액트부터 생각을 해보면 리액트는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동작하며 jsx를 바벨을 통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