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경 최근에 서버와 프론트의 공통 타입을 관리하면 좋을것같다는 얘기를 들었다. 예전부터 이런 생각을 했지만 서버와 프론트의 pacakge.json을 합치면 너무 방대해질것같아서 적용하지는 않았었다. 생각해보기 타입스크립트와 프리티어, 린트정도를 전체 패키지에서 설치를 하고 서버와 클라이언트에서 각각의 패키지를 설치하면 괜찮을 것 같다. 즉흥에서 얘기했지만 괜찮은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에 프리티어는 공통 타입으로 관리하고 린트와 타입스크립트는 설정이 다르다. 그러면 전체 패키지에서 중복되는 프리티어, 린트, 타입스크립트를 설치하고 프리티어만 패키지에서 관리하면 된다. 그리고 타입스크립트를 공통 타입을 위해 사용되기 때문에 기본이 되는 tsconfig를 설정해주고 프론트 서버에서도 tsconfig를..
보통 react에서 서버에 axios로 요청을 한다. 그때 react와 서버에 각각 작업을 해줘야 한다. 이 글은 같은 컴퓨터의 다른포트로 사용하는 법을 적었다. 먼저 react에서 서버에 연결하기 위해서는(CRA사용 기준) package.json에 "proxy": "http://localhost:3001", 이렇게만 입력해주면 된다. proxy에 대해서는 다른 글에서 올리겠다. express에는 const corsOptions = { origin: "http://localhost:3000", }; app.use(cors(corsOptions)); 이렇게만 입력하면 된다.